2025-10-12
2025-10-05
2025-09-28
2025-09-21
2025-09-14
2025-09-07
2025-08-31
2025-08-24
2025-08-17
2025-08-10
2025-08-03
2025-07-27
2025-07-20
2025-07-13
2025-07-06
2025-06-29
2025-06-22
2025-06-15
2025-06-08
2025-06-01
호 7:1-5 “라파의 하나님”
1. 인애가 없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해서 하나님이 치료하려고 할 때에 그들이 (치료)를 거부합니다. 1절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치료하려고 할 때에 그들은 고침을 받으려고 하지도 않더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간섭을 거절하고 하나님의 통치를 거부했다는 것입니다. 치료는 심판이 아니라 고쳐 주려고 하는 것인데 그들은 악에 둘러싸여서 하나님의 치료를 거부했다는 것입니다. 치료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는 것입니다. 치료(히:라파)는 회복을 시키기 위한, 회개시키기 위한 책망과 훈계입니다. 스스로 해결할 수 없기에 고쳐 주려고 하는데 거부할 뿐 아니라 악이 더 드러났다는 것입니다. 책망과 훈계를 들어도 멈추지 않고 하나님 보시기에 악한 길로 계속 가더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일방적으로 맺은 언약을 하나님이 책임지시는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은혜입니다(출6:7). 그러나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은 하나님이 선지자들을 통해서 책망과 훈계를 아무리 해도 멈추지 않고 거짓을 행하며, 안으로 들어가 도둑질하고, 밖으로 떼 지어 노략질하는 삶을 계속했다는 것입니다. 한 사람이 아닙니다. 공동체가 같이 거짓을 행하고 속이는 일을 했다는 것입니다. 이스라엘 전체가 훔치고 빼앗는 삶을 살더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고, 심지어 들어도 깨닫지 못하고 하나님을 거절하며 악행을 멈추지 않았다는 것입니다(시53:1). 이스라엘은 죄 때문에 망하는 것이 아니라 회개하지 않아서 망하는 것입니다.
2. 그들은 (치료)를 거부할 뿐만 아니라 달궈진 화덕과 같다고 하십니다. 4절
너희들이 뜨겁게 달궈져 있다는 것입니다. 너희들의 욕심과 죄악이 불붙어 익을 만큼 준비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죄지을 기회를 찾고 있다는 거예요. 그 기회, 그 순간을 놓치지 않더라는 것입니다. 주저 없이 자기 유익을 위해서 죄악을 행한다는 것입니다. 욕심이든, 자존심을 위해서든, 명예를 위해서든 벌겋게 달궈진 타오르는 불꽃처럼 죄악을 품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백성이 하나님의 뜻대로 살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멀어져 욕망을 채우려고 벌겋게 달궈져 있더라는 것입니다. 관계가 힘들다고 상대방을 고통스럽게 할 기회만 있으면 바로 고통스럽게 할 것이고, 때릴 기회만 주어지면 때릴 것이고, 화날 기회만 있으면 쏟아부으려고 죄의 욕망이 불타고 있다는 것입니다. 선을 향하여 열심을 내야 하는데 죄를 향하여 욕망이 불타오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에 죄의 담대함으로 나아가는 것입니다(마9:4, 마15:18, 눅6:45). 내면의 죄를 방치하면 결국 그것이 우리 인생 전체를 불태웁니다. 하나님은 겉모습 보다 우리의 마음을 더 중요하게 보십니다. 실제로 북이스라엘 왕들이 술에 취하고 방탕하여 오만한 자들에게 살해당했습니다. 오만한 자들을 친구로 만들어 하나님의 백성이 피폐해지는 것입니다. 지금 누구하고 교제하고 누구와 악수하고 있냐는 것입니다. 여러분 내가 먼저 이웃이 되어 주어야 합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는 하나님의 백성과 친밀하고 악수해야 되는 것입니다(벧전2:9). 우리는 생명 안에서 왕 노릇 하는 자입니다(계5:9b-10). 왕 같은 제사장은 하나님을 사랑해야 하고, 하나님의 백성들과 친밀하고 더불어 악수해야 하는 것입니다. 나를 통해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가 세워져 가는 것입니다. 항상 이 개념입니다. 우리 신앙생활의 핵심은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정에서도 그리스도의 몸을 만드는 것입니다(엡4:1-8). 왕 같은 제사장은 오만한 자와 악수하는 것이 아니라 겸손한 자 하나님을 의지하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려고 힘쓰는 자들과 악수하며 더욱 친밀해야 합니다. 심령이 가난한 자,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들을 돌아보고 그들과 친밀 해야 됩니다(갈6:9-10). 우리의 이웃은 지금 도움이 필요한 자입니다. 선한 사마리아인처럼 내 동족이든 아니든 지금 도움을 필요로 하는 자에게 이웃이 되어 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강도 만난 자는 나의 자녀일 수도, 아내일 수도, 부모일 수도, 지금 옆에 있는 그 사람이 도움을 필요로 한다면 그가 나의 이웃입니다.
하나님은 말씀하십니다. 누가 너의 이웃으로 보이느냐? 그를 도우라!!!
하나님은 훈계하시고 책망하십니다. 심판하려는 것이 아니라 치료하시려고 묻는 것입니다!!!